처방전 조회 간편하게 해보세요.

2017. 1. 9. 07:54정보창고

반응형


처방전 조회 간편하게 해보세요.


처방전을 조회하는 이유는 뭐가 있을까요?

저의 경우에는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후 대부분 사람들은

처방전을 약국에서 주고 돌려받지 않는데요.

하지만 때로는 내가 처방받은 약의 내용과 종류에 대해 알아야 하는 경우가 

생기곤 합니다. 지금 먹는 약들과 함께 먹어도 되는 약인지

그게 아니라면 처방전으로 받은 약이 나에게 부작용이 있다며 말이죠.







만약 다른 지역으로 가게되었다면

기존 병원과 다른 종합병원에 가서 기존 섭취하고 있는 약에 대한 처방전을 받으려면

처방전을 받더라도 약의 이름을 알아야합니다.

기존 약을 처방해주는 병원까지 방문하기엔 힘들기에

처방전 조회를 해봐야 하는데요

보통 많은 분들이 모르시지만 인터넷으로

 생각보다 편하게 조회가능하니 따라해보시기 바랍니다.



네이버나 다음 등에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을 검색하시고

상단의 이미지처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시게 되면 내가 먹는약을 한눈에 라는

아이콘과 글이 보이는데 이 그림을 클릭하세요!



기본적인 보안파일을 설치하시고 나면 

몇몇가지 개인정보에 대한 동의와 함께

공인인증서 등을 하셔야합니다.



그렇게 공인인증서 로그인까지 하고나면

약을 조제받은 일자와 조제기관을 확인하실 수 있고



추가적인 클릭으로 내가 먹고 있는 약과 투여회수 투여량 등의

상세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투약정보는 90일 이내만 알 수 있으며

90일 이후의 투약정보는 행정정보공개 신청을

 하셔야 추가적으로 아실 수 있습니다.




약간 귀찮은 부분이긴 하지만 90일 이후의 투약정보가 필요하시다면

행정정보 공개 신청을 하시기 바랍니다.

행정정보공개신청은 

바로 위로 2번째 사진에 빨간색 네모칸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내가 먹는 약을 한눈에 서비스는

병원이나 약국에서 조제받은 의약품을 확인하실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즉 처방받은 약품조회를 할 수 있는 서비스 이며

90일이내의 처방받은 의약품만 확인 가능하며

90일 이후에는 행정정보공개신청을 따로 하셔야 하고

처방전 조회방법은 약을 조제받은 병원에 직접 방문하는 방법과

이렇게 인터넷으로 확인하는 방법이 있으니

본인이 편하신 방법으로 이용하시면 좋을 것 같네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