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임부부 정부지원 정책 알아보기

2018. 9. 28. 01:30정보창고

반응형

요즘 결혼하는 나이대가 점점 높아짐에 따라

난임부부들도 함께 증가하고 있습니다.

난임의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최근 들어 난임의 이유 중 가장 많은 것이

바로 고령이라고 하니 말이죠..


오늘은 이런 난임부부분들에게 도움이되는 

난임부부 정부지원 정책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결혼을 하고 나니 주변에 이런 난임부부들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요새는 시험관을 통하여 쌍둥이들이 많이 태어난 다는 이야기도 알게 되었죠.





그럼 정부지원 정책에 대한 이야기는 아래를 참조해주세요.


보건복지부에서 지원하는 이 사업은

난임부부에 대한 시술비지원 사업인데요

체외수정 시술 등 특정 치료를 통해서만 임신이 가능한 일정소득 계층 이하 부부에게

국가에서 경제적인 지원을 해줘 부담을 덜고 출산율을 높이는 정책입니다.



지원 가능대상은 법적 혼인상태의 난임부부로서 

난임시술을 요하는 의사의 진단서를 제출하여야 가능하며

부부 중 한명은 대한민국 국적을 가져야하며, 외국 국적인 경우에도 

건강보험에 두명다 가입하여있다면 지원 가능하다고 하네요.



선정 기준은

신청월을 기준 여성 나이 44세까지만 한정합니다.

아마 이것은 여성의 나이가 많으면 많을 수록 위험이 커지기 때문에 상한선을 고른 것 같네요.

소득 기준은 전국 가구 평균 월소득 기준의 150%이하

그리고 보험료 산정기준도 있지만 조금 복잡할 수 있으니 직접 체크해보시기 바랍니다.


정부의 지원은 얼마나?!


정부지원 혜택은 체외수정 시술 시 회당 190만원 범위 내 3회까지

동결배아는 회당 60만원에 총 3회까지

(신선배아로만 시행하는 경우 총 4회까지 가능)





신선배아보다 동결배아가 확률이 더 높다고 해서 동결배아를 많이 하는걸로 알고 있네요.

인공 수정은 회당 50만원 최대 3회까지


서비스 신청방법은은?

시/군/구의 보건소에서 신청가능합니다.

신청전 의사의 진단서를 갖고 가시는게 좋을 것 같네요.

정말 결혼을 하고 난 후 주위를 보다보면 

어느 집안은 결혼 후 몇년째 아이가 없어서

걱정이란 이야기를 자주 듣곤 합니다.


건강상 문제일수도 있고 스트레스 일수도 있고 다양한 문제일 수 있죠.

그리고 실제로 난임부부들도 자주 보곤 합니다.

하지만 이제 난임부부는 창피해할 일은 아닌 것 같습니다.

난임은 임신하기 힘들다는 것이지 불임이 아니기 때문이죠.


같은 부모로써 임신때문에 힘들어하실..

난임부부분들의 성공적인 임신을 기원하고 싶네요.






반응형